호박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명
Cucurbita spp.
분류 식물계, 종자식물문, 쌍떡잎식물아강, 박과
원산지 열대 및
남아메리카
열대 및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널리 재배한다. 덩굴의 단면이
오각형이고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지만 개량종은 덩굴성이 아닌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5개로 갈라진다. 꽃은 1가화이며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핀다. 수꽃은 대가 길고 암꽃은 대가 짧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황색이며 하위씨방이다. 열매는 매우 크고 품종에 따라 크기 ·형태 ·색깔이 다르다. 열매를 식용하고 어린 순도
먹는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호박은 중앙아메리카 또는 멕시코 남부의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동양계 호박(C. moschata), 남아메리카 원산의 서양계 호박(C. maxima),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원산의 페포계 호박(C. pepo)의 3종이다. 역사가 가장 오래 된 것은 한국에서 예로부터 애호박 ·호박고지용 ·호박범벅 등으로 이용된 동양계 호박이다. 그 후 쪄먹는 호박 또는 밤호박으로 불리며 주로 쪄서 이용하는 서양계 호박 등이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조숙재배용이나 하우스 촉성재배용으로 이용된 호박, 즉 주키니호박이라 불리며 덩굴이 거의 뻗지 않고 절성성(節成性)을 나타내는 애호박용의 페포계 호박 등이 도입 재배되었다. 동양계 호박은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재배되었다는 사실이 남아 있고 숙과와 청과를 겸용하는 것이 많다. 1970년대에는 오이의 대목용으로 도입된 야생호박(C. ficifolia)이 있으며 이것은 씨앗이 검기 때문에 흑종(黑種) 호박이라 부르고 오이 대목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동양계 호박은 과실이 크고 익으면 과피가 황색이 된다. 육질은 점질이지만 익기 전부터 맛이 좋아 애호박으로 이용이 많다. 과실자루가 오각형이고 목질이어서 단단하고, 특히 과실과 접착된 부분이 넓게 확대되어 있다. 줄기는 가늘고 분지력이 강하다. 서양계 호박은 숙과를 쪄서 이용하는 계통이다. 과실은 방추형 ·편원형 등이고 색깔은 흑록색 ·회색 ·등황색이 있다. 육질은 분질이 많고 완숙해야 맛이 난다. 과실자루는 원통이고 해면질로 되어 있다. 주지(主枝)의 신장력이 강하고 분지력은 약하다. 서늘한 건조지대에 적응성이 크다. 페포계 호박은 덩굴성이 아니고 총생하며 과실은 미숙과를 식용 또는 사료로 한다. 맛은 좋지 못하나 조기재배가 용이하여 촉성 또는 조숙재배에 이용되나 한국 재래종이 출하되면 수요가 적어진다. 호박은 저온 단일상태(短日狀態)가 암꽃착생을 촉진한다. 동양계 호박은 예민하나 서양계 호박은 둔감하다. 발아 후 1주일 정도의 단일처리(8시간)가 암꽃착생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겨울이나 이른봄에는 자연히 암꽃착생은 증가하나 수꽃이 없어지게 되어 인공수분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2,4-D 등의 호르몬제를 개화당일 암꽃의 암술머리나 씨방에 살포하여 단위결과(單爲結果)를 유기하여 과실을 생산한다.
호박은 과채류 중에서는 녹말 함량이 가장 많아 감자 ·고구마 ·콩에 이어 칼로리가 높아 전시에는 대용식으로 재배가 많다. 그러나 보통은 조리용으로 이용되는데 숙과는 다량의 비타민 A를 함유하고 약간의 비타민 B 및 C를 함유하여 비타민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호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호박이 누런 빛깔을 띠는 이유는 호박에 함유된 카로티노이드 색소인 카로틴 때문이다. 이 성분이 항암 효과가 있다는 연구보고서가 꾸준히
발표되면서 호박의 약리 작용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따라서 늙은 호박을 고를 때는 누렇게 잘 익은 것을 골라야 약효가 뛰어나고 당도
높다.
호박은 단백질, 탄수화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E 등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비타민의 보고다.
예로부터 ‘동짓날 호박을 먹으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는 말이 전해 내려올 정도로 겨울철에 호박을 많이 먹으면 감기에 대한 저항력이 길러지고 동상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체내의 이뇨 작용 촉진
무엇보다 호박은 콩팥 기능이 나빠서 부종을 겪는 환자나 회복기 환자들이 죽이나 즙으로
만들어먹는 인기 메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산후 부기가 빠지지 않은 산모가 복용하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호박을 먹으면 부기가 빠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체 내부의 콩팥에는 우리 몸의 수분량을 체크하는 센서가 있는데, 이를 통해 소변량이 조절된다. 즉 콩팥 센서에서 수분이
적다고 감지되면 항이뇨호르몬(소변량을 줄이는 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 소변량이 줄어들고, 수분이 많은 것으로 감지되면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 소변량이 늘어난다.
호박즙이나 호박죽을 섭취할 경우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이유는 호박이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해 체내의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호박이 체내에 과도하게 쌓여 부기를 야기하는 수분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는
수박이나 커피, 또는 술을 먹었을 때 자주 소변이 마려운 것과 같은 원리다.
호박의 효능
호박은 호박살(과육)뿐만 아니라 잎, 줄기와 꽃, 씨, 껍질, 덩굴까지 어느하나 버리는 것이 없는 약알카리성 식품이다.
무엇보다
호박은,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당근, 고구마와 함께 하루 반 컵 정도의 늙은 호박을 별도로 먹으면 흡연으로 인한 폐암의 위험을
반감시킬 수 있다고 한다.또 동짓날 호박죽을 먹으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을 만큼 호박은 중풍 예방에도 좋다.
호박의 당분은 소화가 잘 되므로 회복기의 환자나 위가 약한 사람에게 좋다. 그래서 위장이 약하고 마른 사람이 꾸준히 먹으면 위가 강화되고
살이 찌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비만증인 사람의 다이어트, 당뇨나 산후의 부기를 빼는 데에도 늙은 호박을 따를 만한 식품이 없다. 이는 호박이
살을 찌게하는 성질을 갖고 있는 동시에 몸 안의 수분이나 노폐물을 잘 빼주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 호박은 불면증에도 효과가 있고
호박의 펙틴 성분은 식물성 섬유소로, 이뇨작용을 돕고 담석증 예방에도 좋다.
그 밖에도 늙은 호박은 성인병이나 변비, 설사, 기침이나
감기, 냉증, 피부보호, 야맹증에도 도움이 된다.
각 증상에 따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당뇨.비만.신장.위장장애: 호박요리, 호박죽이 좋다.
피부미용.체질개선: 호박과 팥, 흑설탕이나 꿀을 넣은 호박 범벅을 자주 해
먹음 호박 오가리로 수프를 자주 만들어 먹어도 좋다.
기침.천식: 호박 식혜를 만들어 꾸준히 먹는다.만성적인 기침에는 호박씨를
달여서 하루 3~4번 반 컵 정도씩 식전에 마신다.
스태미나 부족. 전립선 비대: 호박씨를 까 먹거나 달여 먹는다.
신장과
방광기능 저하: 늙은 호박을 여러가지로 조리해서 먹는 것이 좋은데, 늙은 호박을 대추, 꿀 등과 푹 고아서 먹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호박죽이나 찜이좋다. 호박죽을 계속 먹으면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계속되는 설사를 멈추게
한다.
신경통: 늑간신경통으로 가슴이 아플 때는 호박찜질을 하면 진통. 소염효과가 있다. 호박을 찜통에 넣고 푹 찐 다음 절구에 넣고
으깨서 따뜻할 때 부위에 직접 붙이지않고 거즈나 한지에 발라 붙인다. 식으면 따뜻한 것으로 바꿔주고, 하루 2~3회 반복하면 따뜻한
기운이 은근히 퍼져 나가면서 아픈 증세가 서서히 가라앉는다.
유산이나 조산방지: 자궁이 약해 유산이 염려되는 사람은 호박덩굴을 말려 곱게
가루를 낸 다음 매일 한스푼씩 먹는다. 껍질을 벗긴 호박씨를120g정도를 볶아곱게 갈아 1회 30g씩 따뜻한 물과 함께
먹어도 좋다.
구충: 호박씨를 한줌 진하게 달여 탕을 내어 마신다
'삶속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살찌지 않는 식사법 19가지!!! (0) | 2006.09.19 |
---|---|
등신불 시사회를 보고서 (0) | 2006.09.16 |
[스크랩] [서동요49회]전국22개의관청을되찾겠다는벽서를붙인서동 (0) | 2006.09.12 |
[스크랩] [서동요49회]목라수박사가죽은것을알고우는모진 (0) | 2006.09.12 |
[스크랩] [서동요49회]부여선에게 본인이 사남이라 말하는 서동 (0) | 2006.09.12 |